(1) 보청기
보청기에는 고감도 마이크와 고출력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어 외부의 소리를 받아들이고 그것을 증폭기로 스피커로 내보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는 전음성 청각장애인이 듣기 어려운 소리를 듣기 쉬운 소리로 전환해 준다. 많이 사용되는 보청기의 형태는 상자형, 귀걸이형, 귓속 형 등이 있다.
착용 위치에 따른 유형 : 상자형 보청기, 귀걸이형 보청기, 안경형 보청기, 귀속형 보청기
신호처리 방식에 따른 유형 : 아날로그 보청기, 디지털 프로그램형 보청기, 디지털 보청기
청각 보조장치에 의한 유형 : FM 시스템 보청기, 집단형 보청기, 적외선 보청기
증폭 방식에 의한 유형 : 선형 보청기, 비선형 보청기
음전도 방식에 따른 유형 : 기도보청기, 골도 보청기
(2) 인공와우
인공와우는 인공 달팽이관이라는 뜻으로, 양측 고도 감음 신경성 청각장애인 또는 전혀 들을 수 없는 사람에게 청각을 제공해 주기 위한 전자장치다. 인공와우 수술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소리를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하여 청신경을 자극할 수 있는 전극을 인공와우(달팽이관)에 삽입하는 것이다. 인공와우는 언어 습득 후 중도에 농이 된 사람, 청력 손실도가 커서 보청기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사람, 와우의 발육이 정상인 사람, 의료적 수술에 지장이 없으며 정신질환을 앓지 않는 사람, 전기자극 검사의 반응이 좋은 사람 등에게 시술한다.
(3) 기타 보조공학
자막 : TV나 영화, 다양한 어휘와 구문을 접하게 함으로써 언어능력을 신장시킴
청각장애인용 전화기 : 문자 전화기와 골도 전화기
컴퓨터 테크놀로지 : 일반적인 컴퓨터의 사용 이외에도 발음 연습, 듣는 훈련, 수화 교육, 독화 연습, 언어 보충학습 등 다양한 방법으로 청각장애 학생들을 위해 활용
알림 장치 : 출입문의 벨 소리, 화재경보, 자명종, 전화벨 등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들에게 소리 대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불빛이 깜빡이는 단서 등 사용
지체 장애 학생의 교육
1) 지체 장애의 정의 및 분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15조에서 특수교육 대상자로 지체 장애를 규정하고 있으며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장애인복지법에서는 지체 장애와는 별도로 뇌병변장애인(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등 뇌의 기질적 병변으로 인하여 발생한 신체적 장애로 보행이나 일상생활의 동작 등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사람)을 규정하고 있는데,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는 지체 장애에 포함된다.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지체 장애인이나 뇌병변장애인으로 판정되고 나서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신청을 하면 지체 장애를 지닌 특수교육 대상자로 선정될 수 있다.
2) 지체 장애의 유형 및 특성
(1) 뇌성마비 - 뇌성마비는 출생 전, 출생 시 또는 출생 후에 뇌의 선천적 기형이나 손상 또는 중추신경계의 병변에 의해 영구적이고 비진행적인 마비성 운동 신경장애를 앓는 것을 말한다. 뇌성마비는 마비된 신체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단마비 : 사지 중 어느 한쪽의 마비
편마비 : 몸 한쪽 부분의 마비
삼지마비 : 팔다리 세 부분만 마비
사지마비 : 양팔과 양다리 마비
대마비 : 양다리 마비
양마비 : 주된 마비는 하지이고 상지는 경도 마비
중복마비 : 주된 마비는 상지에 나타나고 하지는 경도 마비
더 보편적인 것은 뇌성마비를 근 긴장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다.
경직형 : 뇌성마비를 가진 사람들의 50~60%가 여기에 속할 정도로 가장 흔한 유형이다. 능동 운동을 조절하는 운동피질이 손상된 경우나 운동피질과 척수를 연결해 주는 추체로의 손상으로 추체로 뇌성마비라고도 한다. 근 긴장도가 높아 작은 운동에도 과잉 강직과 과잉 동작을 보인다. 어떤 자극에 대해서는 제어하기 어려운 경련이 일어난다. 보행이 가능한 경우는 발끝으로 걷는 보행을 한다.
(2) 이분척추
이분척추는 척추 발생상의 결함으로 척추의 융합이 완전하지 않은 신경관 형성의 선천 기형이다. 하반신의 근육과 감각을 조절하는 척수와 신경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하여 척추 손상 부위가 많을수록 신체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분척추는 잠재성 이분척추, 수막염, 척수수막류로 분류한다.
(3) 근이영양증
근이영양증은 대표적인 진행성 유전질환으로 골격근이 점진적으로 변성되고 위축되어 약화한다. 근이영양증이 있는 아동은 출생 시에는 정상 발육을 보이나 2~6세 경이되면 달리거나 계단 오르기에 어려움을 겪으며, 대개 10~14세에 걸을 수 없게 되고, 청소년기나 청년기에는 가슴의 근육 위축으로 심장박동 정지나 호흡기관 정지로 사망에까지 이르는 경우가 많다.
퇴화한 근육이 지방질로 변해 종아리 근육이 비대해지는 가성 비대를 보이기도 한다.
3) 지체 장애 학생의 교육적 지원
(1) 보조공학 지원과 부분 참여의 원리
지체 장애 학생들은 운동성의 제한으로 인해 학습 장면에 일반적인 방법으로 참여하기 어려운 상황이 많이 발생한다. 교육과정이나 활동 참여에 있어서 물리적인 환경상의 제약이 따르는 경우에는 물리적 환경의 조정이 필요하다. 또한 이동, 의사소통 등의 문제로 학습활동 참여 제약이 큰 경우에는 학생에게 각종 이동 수단과 구어적인 의사소통을 보완하거나 대체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체계를 적용한다.
지체 장애 학생들은 그 장애의 정도가 심하고 두 가지 이상의 장애를 함께 가지고 있는 중도 장애 학생이 많다. 대게 지적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지체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으로 인해 감각적인 결함을 동반하는 경우도 많다.
'특수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교육의 당위성과 효과 (0) | 2023.01.05 |
---|---|
영재 학생의 교육 - 영재성의 정의 및 원인 (0) | 2023.01.04 |
청각장애 학생의 교육 (0) | 2023.01.03 |
감각 장애 - 시각장애 학생의 교육 (0) | 2023.01.02 |
자폐성 장애의 원인 과 특성 (0) | 2023.01.02 |
댓글